카테고리 없음

일산화탄소중독에 의한 저산소뇌손상 뇌경색뇌출혈

csh153 2022. 9. 15. 15:25
반응형

의식은 혼미하였고, 37세 남자가 의식이 저하된 상태로 응급실로 이송되었다
환자는 특이 과거병력은 없었다. 흡연은 하지 않았으며, 음주는 월 1-2회 소주 1병 정도 하였다. 내원 당시 활력징후는 혈압 115/70 mmHg, 맥박 84회/분, 체온 36.5°C였다.
글래스고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 GCS)는 E2M4V1이었다

• 신경학적검사상 대광반사, 각막반사, 인형눈반사는
정상이었다
• 통증 자극에 대한 반응은 좌측 상하지의움직임이 MRC (Medical Research Council)
grade 2로 저하되어 있었다.
•건반사는 정상이었고 바빈스키징후는 나타나지 않았다

• 혈액검사상
COHb가 5.3% (↑)

정상치: <0.8%)
(정상치: <0.1 ng/mL),

혈중 트로포닌-T는 0.252 ng/mL()

•크레아틴인산화효소는 596 U/L()

(정상치: 26-174 U/L),

•크레아틴인산화효소-MB는 29.34 ng/mL()

(정상치: <5 ng/mL)

내원일 오후 5시에 촬영한 확산강조영상에서 양측 창백핵(globus pallidus)과 해마저산소뇌손상을 시사하는 고신호강도와 함께 우측 줄무늬체-내포와 대뇌부챗살급성뇌경색이 관찰되었고 출혈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 MRA는 시행하지 못했으나 FLAIR에서 우측 중대뇌동맥의 신호강도는 정상적으로 보였다.

의식은 점차 호전되어서 졸리지만 간단한 명령수행이 가능할 정도가 되었으나입원 7일째 의식이 혼미하게 저하되어서 CT 와 MRI를 시행하였다.
➤CT상 이전의 뇌경색 부위인
우측 기저핵과 대뇌부챗살 부위에 혈종과 주변부의 부종이 관찰되었고 덩이효과(mass effect)로 주변 뇌실이 밀리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MRI에서 상기의 출혈병변은 T1강조 영상에서 동신호강도를 보이고 T2강조영상에서 중앙부의 고신호 강도와 주변부의 저신호강도를 보여서 급성기 혈종을 시사하였다. 이후 보존적인 치료를 받으며 환자상태는 다소 호전되었으나 GCS는 E4M4Vt로 의사소통은 되지 않았고 좌측 상하지에 심한 마비(MRC grade 1)를 가진 상태로 입원 40일째 퇴원하였다.

본 증례는 뇌졸중 위험인자를 가지지 않은 젊은 남자에서 일산화탄소중독으로 인해서 저산소뇌손상과 함께 뇌경색이 발생했으며 수일이 지나서 신경학적악화를 동반한 출혈변환이 나타난 예이다.


🍎일산화탄소중독에 의한 저산소뇌손상은 창백핵을 가장 흔하게 침범하며 해마, 소뇌, 백색질, 다른 기저핵 부위 등에도 나타날 수 있다

. 뇌손상의 부위와 범위는 일산화탄소에 노출된 시간과 정도에 따라서 다르다 병리적으로는 창백핵의 괴사점상출혈, 백색질의 탈수초, 대뇌피질의 해면성 변화, 소뇌의 조롱박세포(Purkinje cell)의 소실 등이 관찰된다

이러한 저산소뇌병변 외에 뇌경색이나 뇌출혈이 드물게 동반될 수 있는데 주로 발병 초기에 출혈경색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본 증례에서는 일산화탄소중독 후 24시간 이내에 촬영한 뇌영상에서 저산소뇌병변과 함께 뇌경색이 발견되었다. 뇌경색이 일산화탄소중독과 무관하게 우연히 발생했을 수도 있으나 뇌경색 위험 인자가 없었던 젊은 환자이고, 뇌경색 발생시기가 일산화탄소중독 직후인 점을 고려할 때 일산화탄소중독과 연관되어서 뇌경색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환자는 뇌경색이 발생하고 수일이 지난 후 실질 내혈종 양상의 출혈변환에 의해서 신경학적 상태가 악화되었는데 이런 경우는 매우 드문 예이다.
이전까지 보고된 예에서는 모두 3일 이내에 촬영한 뇌영상에서 출혈경색의 양상으로만 발견되었고뇌경색이 발생한 후 1주가 지나서 출혈변환이 나타난 예는 없었으며, 실질내혈종 양상의 큰 출혈에 의해서 신경학적악화가 나타난 예도 없었다.
본 증례의 또 한 가지 특이한 점은뇌경색의 병변부위가 줄무늬체-내포 및 대뇌부챗살이라는 점이다. 이전에 보고된 뇌경색 부위는 주로 중대뇌동맥 영역의 피질부위를 포함하는 큰 영역이었다 그 외의 부위로는 양측으로 광범위하게 반난형백색질중심부(centrum semiovale)를 침범한 예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는 일산화탄소중독과 동반되어 뇌경색과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산화탄소에 중독된 환자에서 국소신경학적결손이 관찰되면 뇌경색의 동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며, 뇌경색이 발생한 후에도 출혈변환에 의해서 환자 상태가 악화될 수 있음을 유의하고 치료해야 한다.

창백구는 자발적인 움직임의 조절에 관여하는 뇌의 구조입니다 . 그것은 다른 많은 기능 중에서 잠재 의식 수준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조절하는 기저핵의 일부입니다.






Striatocapsular은(는) 무슨 뜻인가요?

기저핵 낭 경색이라고도 알려진 선조체 낭 경색은 전체 또는 부분 근위 중간 대뇌 동맥 폐색으로 인한 피질의 침범 없이 미상 핵, 피막 및 내부 캡슐의 앞다리를 포함하는 경색입니다

선조체낭 경색이란 무엇입니까?
선조체낭 경색증은 중간 대뇌 동맥 영역에서 발생하는 심부 반구형 대뇌 경색의 특정 형태로, 피질하 및 피질의 징후와 증상의 복잡한 집합을 초래합니다 .

대부분 선조체낭 경색(striatocapsular infarct)을 일으킵니다. 대개 언어 장애나 편측 무시 없이, 팔과 손을 주로 침범하는 불완전 순수 운동 장애를 일으킵니다. 시상관통동맥과 시상슬동맥이 막히면 시상이 경색되어 중추성 통증, 감각 소실 등이 나타납니다

다양한 임상 양상이 있지만, 전형적으로 선조낭 경색증 환자는 급성기에 피질(예: 실어증, 감각 소실 또는 소거, 실행증)과 피질하(예: 상지 편마비, 구음 장애) 신경학적 징후를 모두 나타냅니다. 경색에 직접 관여하는 것 1-4 . 이 피질하 선조낭 경색증에 존재하는 이러한 피질 징후에 대한 기본 메커니즘은 불행히도 잘 이해되지 않지만, 아래 1-4 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감소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피질 혈류로 인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


코로나 라디에타는 뇌의 어느 부분입니까?
Pontine과 Corona radiata는 피질과 뇌간 사이의 동일한 돌출부에 위치 합니다 . 그들은 피질하 운동 경로와 관련된 IS의 가장 흔한 부위입니다.

오른쪽 코로나 방사체에서 급성 경색이란 무엇입니까?

코로나방사선 뇌졸중의 증상 코로나방사선과
관련된 뇌졸중은 비교적 작을 수 있으며 증상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이러한 스트로크를 무음 스트로크라고 합니다. 반면에 코로나 방사체와 관련된 뇌졸중은 자신을 돌볼 수 없는 것과 같은 비특이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코로나 라디에타 경색은 어디에 있습니까?

Pontine과 Corona radiata는 피질과 뇌간 사이의 동일한 돌출부에 위치 합니다 . 그들은 피질하 운동 경로와 관련된 IS의 가장 흔한

부위입니다.

뇌의 코로나 라디에이터는 무엇입니까?

신경 해부학에서 코로나 방사체는 내부 캡슐로 아래쪽으로 계속되고 중심 반타원형으로 위쪽으로 계속되는 백질 시트입니다. 오름차순 및 내림차순 축삭의 이 시트는 대뇌 피질을 오가는 대부분의 신경 트래픽을 전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