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의식장애감별

csh153 2022. 9. 15. 23:04
반응형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것


양측 동공 축소 + 의식장애에서는 유기인 중독부터 생각한다.

유기인 중독이 아님을 확인하기 전에는
교출혈(pontinehemorrhage)이라고 생각하여 두부 CT 촬영을 해서는 안 된다!

°°°°°°°°°°°°°°°°°°°°°°°°°°°°°°°°°°°°°°°°°°°°°

의식장애 - 정신 증상에서 범하기 쉬운 실수 10가지  


(①) 쇼크 + 의식장애에서, 두 개 내 병변(손상)이라 생각하여 두부 CT 촬영


(②) 양측 축동 + 의식장애에서, 교출혈이라 샘각하여 유기인 중독이 아님을

확인하기 전에 두부 CT 촬영


(3) 정신과 환자의 물중독에 의한 의식장애를 약물

➤중독이라고 오진하여 대량수액

(4) 만취 + 두 개 내 손상을 단순 마취로 오진하여 응급실 구석에 방치하는 것

(5) 간질 발작 + 두 개 내 손상을 경련 후의 일시적인 의식장애라고 오진하여 방치



(6) 약물 과량(수면제의 복용 실수)에 의한 의식장애를 뇌졸중이라고 오인


(7) 저혈당이 아님을 확인하기 전에 두부 CT 촬영


(8) 악성종양 환자의 고칼슘혈중에 의한  
  의식장애를 뇌 전이(brain nmetast sis)
라고 단정


(9) 만성 경막하 혈종에 의한 치매 환자를          
    정신과에 소개


(10) 만성 경막하 혈종의 CT 촬영에서 isodensity hemToma를 뇌경색이라고 오진

DO "DONT"!


D (Dextrose, 포도당)   50% 포도당 2관 iv

O(Oxygen 산소 )         비강삽관 2 L/분

N (Naloxone, 날록손) (길항제: 마약 중독이 의심 시에

T (Thiamin, 티아민)     비타민 B, 100mg iv


°°°°°°°°°°°°°°°°°°°°°°°°°°°°°°°°°°°°°°°°°°°°

* 가능하면 응급실에서 glucose와 SpO2를 체크

* 마약 중독이 적은 일본에서 Naloxone의      

    유용성은?

●Flumazenil( 10/Anexate)

●Diazepam(세르신/Cercine) 등의      

   ㅡㅡ벤조디아제핀계 약제의 길항제.    

           0.2mg(1A = 0.5mg)씩 정맥주사.

금 기


① 만성으로 소신경안정제(minor tranquilizer)를 복용 중인환자(withdrawal seizure를 일으킨다)

②) 삼환계 항우울제 중독

◇ 항뇌부종제(글리세롤/ Glyceol , 만니톨 Mannitol)는

    뇌탈출 중 징후가 없다면 신경외과에 자문을        구하고 나서 개시.

ㅁ 세균성 수막염이 의심된다면 내원 후 1시간

     이내에(요추천자의 결과를 기다리지 말고)

    항생제 개시.

    Ceftriaxon(로세핀/Roc ephin) 또는        

    Cefotaxime( 크라포란/Claforan)

    Ampicillin( 암피실린/Ampicillin).



◇ 지주막하 출혈이라고 자신할 수 있다면 즉시 강압제 투여


■ 쇼크, 저산소혈증, 저혈당이 아님을 확인하기 전에는 CT 촬영실에 들여보내지 말라! 두부 CT 촬영 시간이 생명을 위협하게 될 수 있다!

◇  대사성 혼수가 의심될 경우의 체크 항목

    Spo² glucose, Na, Ca, NH3, BUN, CO-Hb

◇  기질적 혼수가 의심될 경우의 체크 항목

   두부 CT 촬영, 요추천자

◇  요추천자: 뇌탈출증 징후가 있는 경우는      

     요추천자는 금기. 두 개내압 항진 증상만으로    

    수막염이 의심되는 경우는 시행!



감별진단

AUEOTIPS

● Alcohol알코올

● Insulin(hypo/hyper-glycemia)

    저 - 고혈당

● Uremia요독증

●Encephalopathy (hypertensive, hepatic)        

    고혈압성 - 간성 뇌 중

●Endocrinopathy(adrenal, thyroid)    

    내분비질환

●Electrolytes(hypo/hyper-Na, K, Ca, Mg)      

   저나트륨혈증 등 전해질 이상

●Opiate or other overdose약물 중독

   decreased Oz(hypoxia, CO intoxication)

   저산소

●Trauma 외상

   Temperature(hypo/hyper) 저 - 고체온

●Infection(CNS, sepsis, pulmonary) 감염증

●Psychogenic  Porphyria정신질환포르피린증

●Seizure  간질

  Shock쇼크

  Stroke, SAH뇌출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