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Acute Lt. PVWM Infarction

csh153 2022. 9. 15. 13:32
반응형



우측 편마비, 보행장애를 호소하는  급성기 좌측 뇌실 주변백질경색 환자


A Case Report ofAcute Lt. PVWM Infarction Patient with Rt.side Hemiparesis and Gait Disturbance Treat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예후가 좋지 않은 부위인 대뇌 부챗살(Coronaradiata)의 내 후측에 뇌경색이 발병하여 편마비, 중등도의 보행장애 및 기력부진을 보인 환자

PVWM infarction, Hemiparesis, , Ikkibohyul-tang뇌졸중(Stroke)이란 뇌혈관에 발생한 병적 변화

뇌는 부위에 따라 심부의 백질과 피질부의 화백 질로 나뉘는데, 백색질 중심부(Centrum semiovale)는대뇌피질 이하의 백색질을 총칭하는 용어로 투사 섬유, 연합 섬유, 교련 섬유들로 구성되어 있다

2. 백색질 중심부 뇌경색은 순수 운동성 편마비, 운동실조, 발음 곤란 등의 증상이 독립적으로 혹은 서로 결합되어 발생하며, 병변 부위에 따라 예후가
따라 백색질 중심부 뇌경색은 그 임상증상이 의식
과 무관하므로 中經絡증에 속한다.

본 증례는 백색질 중심부 뇌경색 환자 중 상대적
환자명 : 이○○(F/76)

2. 진단명 : Lt.PVWM infarction

3. 주소증 : 우측 편마비, 보행 장애

4. 발병일 : 2014년 3월 3일

5. 과거력

1) 고혈압, 당뇨, 뇌출혈 : 2013년 성빈센트병원 입
원 및 약물치료

2) 요통, 하지 저림 : 2014년 1월 분당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약물치료

6. 현병력


만 76세의 통통한 체격의 여환으로 평소 고혈압, 당뇨약 복용 중인 자로 2013년도에 타 병원에서
뇌내출혈 진단받고 외래 통원치료 중이었으며 당시 Rt. side paresthesia가 있었으나 이후 호전
되어 정상인과 같이 생활하던 중에 2014년 3월 3일 어깨 및 허리 통증으로 local 한의원에 가려
고 차에 탔으나 힘이 빠져 내리지 못하는 증상발생하여 한의원에 업혀 들어갔으며 침을 맞은
후에도 호전이 되지 않아 환자 및 보호자 구체적인 진단 및 치료 원하여 2014년 3월 3일 본원

외래 통해 입원함.

1) Brain MRI diffusion+MRA(2014년 3월 3일)  (Fig. 1A, 1B)

(1) Focal recent ischemic infarctions, left PVWM

(2) Old resolved hemorrhages, left basal ganglia

(3) Lacunar infarctions, both basal ganglia, PVWM

(4) Senile brain atrophy

(5) No significant vascular stenosis of major vessel

2) Neck MRA(2014년 3월 3일)(Fig. 1C) : No

significant vascular stenosis of major vessel
) Neurologic examination

(1) Mental status

① Consciousness : Alert

② Orientation : Intact

(2) Higher cerebral functions(Speech, Memory, Mood, Behavior, Urination) : Normal
(3) Cranial nerve functions : Normal
(4) Sensory system : Rt.side paresthesia(U/E :70%, L/E : 70%) 2013년 뇌출혈 이후 지속

(5) Motor system(Muscle, Tone, Coordination Motor power) : Rt.side weakness(U/E : 3-, L/E :4-) 우완 본래 통증 있어 Motor check 정확하지 않음

(6) Abnormal movement : None specific

(7) DTR

① E/J : ++ / ++  ② K/J : ++ / ++

(8) Babinski's sign : - / -

4) 혈액학적 검사 : 생화학 검사 및 혈액학적 검사, 내분비 검사상 특이 소견 없음.
양약치료 : Clopidogrel 75 mg 1T qd, Voglibose0.3 mg 1T qd, Gabapentin 100 mg 1T tid,

Choline Alfoscerate 400 mg 1T tid, Artemisiaasiatica 95% ethanol ext. 60 mg 1T tid,

Telmisartan 40 mg 1T qd, Amlodipine maleate6.42 mg 1T qd(voglibose 이하 약은 입원 전부터 지속 복용하던 약으로 입원 이후 Clopidogrel만 추가됨)

(10. 평가방법
환자 입원기간 중 매일 MMT(muscle manualest) check 하여 변동 경과를 확인하였으며, 입
퇴원 시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index, Modified rankin scale, NIHSS, MMSE-Kscore로 평가하여 치료 전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11. 임상 경과

1) 우반신마비 : 3월 3일 내원 시 우측 Motor grade(3-, 4-)로 휠체어에 옮겨 탈 때 보호자가 안고 내려주었으나 치료 진행하며 3월 9일부터는 Motor grade(3, 4+)로 상지를 천천히 들어 올릴 수 있을 정도로 힘이 들어오며 하지에 힘을 줘 수초 간 서서 기다릴 수 있는 수준으로 호전, 3월 29일부터는 (3, 5-), 4월 2일부터는 (4, 5-)로 호전됨.


2) 보행 장애 : 3월 3일 내원 시 보호자가 휠체어를 끌어줘야 하며 본인의 힘으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였으나 3월 13일부터는 부축을 받으며 단거리를 보행할 수 있을 정도로 호전, 3월 17일부터는 보행기를 사용하여 보행, 3월 21일부터는 부축 및 보행 보조도구 없이 혼자 단거리를 보행할 수 있을 정도로 호전으로 예후가 좋지 않은 부위인 대뇌 부챗살(Coronaradiata)의 내 후측에 뇌경색이 발병하여 편마비, 중등도의 보행장애 및 기력부진을 보인 환자에  치료를 시행한 후 상당한 수준의 호전이 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