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중구감소증 역격리 간호란
호중구감소증 (neutropenia) 개념
말초혈호중구수 1500/μL 이하의 경우를 말한다. 호중구 수가 1000/μL 이하가 되면 감염증을 합병하기 쉽고, 특히 500/μL 이하에서는 중증 감염증을 합병하기 쉽기 때문에 무과립구증(agranulocytosis)이라고 한다.
또한 100 / μL 이하로 감소하면 중증 감염이 필수적입니다.

호중구 감소증 의 발병 기전 은
① 생산의 저하에 의한 조혈 줄기 세포 장애, 조혈 줄기 세포에의 바이러스 감염, 선천성 질환 등),
②무효 조혈(골수이형성 증후군, 거적아구성 빈혈 등), ③소비나 붕괴의 항진(패혈증 등의 중증 감염증에 의한 소비, 자가면역성 질환 등),
④ 분포의 이상(간경변이나 Banti 증후군 등의 비장 기능 항진증)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자가면역 호중구감소증과 같이 호중구의 붕괴가 항진하지만 호중구계 전구세포가 장애 될 수 있고 복합적인 요인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호중구 감소증의 원인이나 병태가 불명한 경우도 많다.
백혈구 유형 총 WBC의 %
분절된 호중구(다발 또는 세그먼트라고도 함) 49%
호중구 밴드(밴드라고도 함) 1%
호염기구(basos라고도 함) 1%
호산구(eos라고도 함) 1%
림프구(림프라고도 함) 38%
단핵구(단핵구라고도 함) 10대 부분의 혈구 수 보고서에서 ANC는 이미 계산되어 있습니다. ANC를 결정하기 위해 WBC(백혈구 수)에 분할된 호중구("세그"로 약칭) 및 밴드의 백분율을 곱합니다.
ANC 계산법
총 백혈구수 * 호중구가 차지하는 백분율을 곱한 수치
예) WBC 5000, Neutrophil 40.4%이면 -> 5000 * 40.4 / 100 =2020
WBC 1500, Neutrophil 30.2%이면 -> 1500 * 30.2 / 100 =453★
감염 위험 ANC 값
제일 높은 500 미만
가운데 500-1000
낮추다 1000 이상
ANC 계산기
ANC 계산 예
1500 WBCx. 50(49 세그먼트 + 1 밴드 = 50)
= 750 ANC사람의 ANC가 낮을수록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
암 환자의 경우 감염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호중구 감소증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호중구는 가장 흔한 백혈구입니다. 그들은 감염 부위에 도달하여 침입하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싸우기 위해 효소라는 물질을 방출합니다.
호중구 감소증이란 무엇입니까?
호중구 수가 정상보다 낮은 경우(500 미만), 호중구 감소증이라고 합니다. 100 미만은 심각한 호중구 감소증입니다.
절대호중구수(ANC) 및 호중구감소증
절대 호중구 수는 무엇입니까?
절대 호중구 수(ANC)는 감염, 특히 세균 감염에 대항하는 신체 능력의 추정치입니다. 이러한 확인 결과는 종종 "카운트"라고 합니다.
ANC는 혈액 내 호중구 수를 측정합니다. 호중구는 박테리아를 죽이는 일종의 백혈구입니다.
Neutropenia ; ANC 1000 이하시
<치료>
▪︎기본 항생제는 최소한 7일 이상 사용해서 ANC500 이상시 까지는 꼭 써야 한다
▪︎대체로 broad spectrum cephalosphorin or penicillin or combination with aminoglycosides
▪︎3일간 써도 열이 나는 경우 항진균제를 시작한다
▪︎만약 입안에 염증이 보이는 경우 antiviral agent를 추가한다
▪︎ANC 1500 이하이면 chemo Tx을 보류하라고 되어있다
▪︎Nadir(WBC, plt 등이 최고로 감소하는 시기)는 대체로 7~14일 후이므로 각별히 주의!
< 역격리 지침 >

1. ANC 500~1000개인 환자
▪︎병실격리는 불필요하다(사망률에 크게 차이가 없다)
▪︎손 씻기 : 환자, 방문자, 의료인 흐르는 물에 10초 이상 비누를 이용하여 손 씻기를 시행하고 종이타월로 물기를 닦는다.
▪︎음식과 음료수 : 조리된 음식만을 섭취하도록 하고 외부의 음식반입을 금한다.
▪︎생과일, 생채소 금지, 음료수통은 소독하여 사용하고 끓인 물만을 마시도록 하며 매일 교환한다.
▪︎끓인 물로 만든 얼음만을 사용한다.
▪︎나무와 꽃 금지, 세면대와 목욕통은 락스로 닦고 건조한 상태로 유지한다.
▪︎가습기의 물은 멸균수를 사용한다.
▪︎감염성 질환이 있는 방문객과 12세 미만의 어린이는 방문금지
▪︎자주 샤워한다. (1일 1회)
▪︎환자가 검사를 위해 검사실로 이동할 경우 깨끗한 덧가운, 마스크를 착용한다.
▪︎환자개인용으로 혈압계, 체온기, 토니켓을 구비한다.
▪︎침습적 처치가 아닌 일반적인 간호 시에는 가운, 마스크, 소독장갑을 착용할 필요가 없다.
▪︎정맥주사등 침습적인 처치를 할 때에는 마스크, 소독장갑, 무균술을 준수한다.
▪︎흡인으로 인한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 머리를 30~45도 이상 올린다.
▪︎이러한 격리방법은 이미 호중구가 감소한 환자뿐 아니라 호중구 감소가 예상되는 환자(예 : 항암요법을 시작하는 환자)에게도 시행한다.
▪︎정맥주사 : 알코올과 포비돈으로 소독한 후 소독액이 마른 다음(3분 이상) 시행한다.
▪︎정맥주사 및 수액세트는 48~72시간에 1회 교환하고 교환 시 알코올과 포비돈으로 소독한다.
▪︎peripheral IV line의 경우 소독하고 angio start후 포비돈이 완전히 마르면 "op site" 작은 사이즈로 film Dx 하고 그렇게 하지 않은 경우 daily Dx 해야 한다.
2. ANC 500 이하인 환자
▪︎1번에 있는 지침은 모두 준수하며 다음과 같은 관리를 강화한다.
▪︎병실격리를 권고한다.(같은 질환으로 인한 면역저하 상태이면 같은 병실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손 씻기 : 환자, 방문자, 의료인은 환자 접촉전후로 소독제(클로르헥시딘)를 이용하여 15초간 손을 씻는다. ▪︎의료진과 방문객은 병실출입시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한다.
▪︎각종 침습적 처치를 자제한다.
3. ANC 100 이하인 환자
▪︎병실격리를 한다.
▪︎1일 1~2회 병실전체를 락스소독한다.
▪︎의료진과 방문객은 가운, 마스크, 장갑, 모자를 착용한다.(마스크는 2시간마다, 가운은 1일 1~3회, 모자는 1회 교환한다)
▪︎소독된 시트(겹시트, 대시트, 베갯잇, 환자복)를 1일 1회 교환한다.(속옷과 수건은 빨아서 말린 후 열소독)
▪︎멸균식사를 제공한다.(식수는 끓여서 식힌 후 먹는다)
▪︎1일 2회 좌욕을 한다.(소독대야, 좌욕용 povidone, 멸균생리식염수)
▪︎1일 1회 소독약제를 사용하여 목욕한다(hiviclene 또는 scrub povidone)를 사용하여 목욕한다.
▪︎병실 내에서 사용하는 모든 물품은 소독하여 사용한다.
(tray, 가위, fluid, IV set, 체중계등 락스소독하여 사용, 방창고, 혈압계, 청진기등은 가스소독)
▪︎보호자 1인상주는 가능하며 병실 내 식사와 화장실의 사용은 금한다.
호중구 감소는 말초 혈액의 호중구 수 (백혈구 수 × 호중구 비율 )가 1,500 / μL 미만으로 감소한 상태이다.
호중구 감소의 원인으로는 감염성, 약제성, 면역성의 빈도가 높다.
호중구 수가 1,000/μL 이하가 되면 감염증을 합병하기 쉬워진다.
500/μL 이하가 되면 중증 감염증을 합병하기 쉽고, 발열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긴급의 대응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호중구 감소 속도, 지속 기간 및 기초 질환에 따라 위험이 다릅니다.
.